경제/금융사기

[재테크 잡설9] 보이스피싱에 대응한 분산투자

,,.,,. 2023. 6. 4. 19:21
반응형

1년에 수만명이 보이스피싱을 당하므로 연 0.1% 확률로 전재산을 잃을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1. 인터넷뱅킹과 오픈뱅킹이 불가능한 계좌를 만들자

5개 은행 중 하나 정도는 인터넷뱅킹을 완전히 금지해달라고 요구하고 대면 거래만 하는 게 속 편함. 그런 데 적금을 일부 분산해두면 최악의 경우 모든 인터넷뱅킹 자금을 탈취당해도 당장의 생활비를 지킬 수 있음.

저는 아래 기사 때문에 하나은행을 신뢰합니다.

(22년 9월: 보이스피싱 피해 후 오픈뱅킹 차단이 어려워 은행을 이용하지 못 하는 사례)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09040826011/amp

 

원화의 가치 하락을 예상한다면 해외 펀드를 가입합니다. 찾는 데 적어도 9일은 추가됩니다.

 

 

2. 새마을금고 출자금 (원화)

- 최대 1,000만원 정도

- 리스크:

    1) 신용리스크: 해당 새마을금고가 망할 경우 돈을 떼인다. 예금자 보호 못 받음

    2) 환리스크: 원화로만 투자 가능하므로, 원화의 가치가 급락할 경우 손실 발생.

    3) 유동성 리스크: 일부 출금 불가, 아무리 급해도 다음해 3월은 되어야 해지 가능.

 

출자금은 빠르게 받을 수 없습니다. 출자금 해지 시 다음 년도 결산 총회 후에야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부 금액만 출금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직장에서 운영하는 새마을금고의 경우 이 돈은 퇴직 시에나 받을 수 있습니다.

 

이자에 대한 배당소득세도 떼지 않죠. 1000만원 넣어서 연 30만원 이자를 받을 경우 연 45000원 정도의 세금이 감면됩니다. 즉, 수익률 연 2.55%냐 3%냐 정도의 차이가 있겠네요.

(23년 초 기사)

https://m.mk.co.kr/amp/10626384

 

해킹형 보이스피싱을 당하든 대면형 보이스피싱을 당하든, 몇 달 간의 기다림 없이는 출금할 수 없다는 돈이라는 점에서 좋게 생각합니다.

다만 원화의 가치를 믿지 못 할 경우 소용없다는 건 단점이예요.

 

 

3. IRP

55세 이전 중도인출이 매우 까다롭습니다.

 

 

 

시리즈 다른 글 보기

https://zipperdream.tistory.com/m/154

 

[재테크 잡설] 글 모음

모아볼 수 있도록 정리하는 중입니다. 1, 보험 https://zipperdream.tistory.com/m/153 2, 금 선물 https://zipperdream.tistory.com/m/104 3, 해외옥수수선물 https://zipperdream.tistory.com/m/149 투자는 항상 전액 손실이 발생

zipperdream.tistory.com

Disclaimer:
 조사자료는 독자 투자에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또한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제가 신뢰할 만한 자료  정보로 얻어 것이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자료는 독자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없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