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일반 에어컨이 꺼지는 이유: https://zipperdream.tistory.com/115
* 자동차 에어컨이 꺼지는 이유: https://zipperdream.tistory.com/79
오늘은 자동차 에어컨 냉매가스 누설 고장 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주행 중 에어컨 작동을 시도할 경우 에어컨은 작동되지 않고 엔진의 회전수가 변하면서 시동이 꺼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했습니다.
- 재시동을 걸면 시동이 다시 걸리지만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하지 않고 엔진 작동이 무거움.
이 차량에는 (엔진튠업) (연료계통 점검 및 수리) (점화계통 점검 및 수리) 3회의 정비 이력이 있습니다.
점검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점검을 하던 중 시동이 꺼지면서 배선이 타는 냄새가 났습니다. 컴프레서 내부의 마그네틱 클러치가 불타서 손상되어 있었습니다. (소손 현상을 일으킴)
- 컨덴서를 확인: 컨덴서의 핀 부분에서 미세하게 에어컨 가스가 누출되고 있었습니다.
- 쿨러의 파이프 확인: 컴프레서 호스를 탈착한 다음 쿨러의 파이프를 분해하여 확인하였습니다. 이물질이 과다하게 유입되어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와 같습니다.
- 에어컨 냉매가 누설되는 상태에서 계속 에어컨을 작동하였습니다.
- 에어컨 컴프레서 윤활유는 에어컨 냉매가 순환될 때 함께 혼합되어 순환합니다. 에어컨 냉매가 제거되면 윤활유도 함께 제거됩니다.
- 에어컨 컴프레서 내부의 윤활유가 부족하자 에어컨 컴프레서 안에서 피스톤이 실린더와 마찰을 일으켰습니다. (소착현상을 일으킴)
- 따라서 에어컨을 켜려고 할 때마다 엔진의 작동이 정지되었습니다.
따라서 에어컨 냉매가 누설되는지 점검을 받아야 하고,
냉매가 누설되고 있다면 에어컨 컴프레서 오일을 보충해 주어야 합니다.
이 오일이 오염되었을 경우 에어컨 장치에 냉매를 충전시킨 다음 리시버 드라이어를 교환하도록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 자동차 에어컨 냉매 가스 누설에 대한 고장사례 고찰
이일권, 국창호, 문학훈, 유창배, 한국가스학회지 20(2), 2016.4, 10-15 (6 pages)
다음 논문을 참조하세요.
---------------------------------------------------
다만, 보유하신 차량이 굉장히 낡은 차량이고 몇 년 내에 신차를 구입할 계획일 경우 컴프레서를 교체하기보다는 냉매와 컴프레서오일을 관리해주는 걸로 끝내는 것이 낫습니다.
'자동차 > 에어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에어컨 덜 시원함 및 컴프레샤 소음 (0) | 2022.07.03 |
---|---|
자동차 에어컨이 꺼지는 이유 (0) | 2020.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