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1. 중개형 ISA 계좌 뜻? 왜 ISA?
2. 중개형 ISA 계좌 종목
3. 배당 투자전략?
1. 중개형 ISA 계좌 뜻? 왜 ISA?
배당 받아서 일 안 하고 살고 싶은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2/01/09/Y2HCA5EYRJFWXFZ7FR6ITVGRJA
“7억 모아 서른에 퇴사, 배당 투자로 자유 얻었죠” [행복한 노후 탐구]
7억 모아 서른에 퇴사, 배당 투자로 자유 얻었죠 행복한 노후 탐구 일본의 早期 반퇴 열풍 이끈 호타카 유이키씨 인터뷰
www.chosun.com
한국에서는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한국에서는 양도소득, 배당소득 등 각종 금융소득이 연 2천만원을 넘어갈 경우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어 많은 세금과 건강보험료를 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55세 이후에는 시드머니만 충분하다면 금융소득만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DC형 퇴직연금, 개인연금저축, IRP (개인형 퇴직연금) 등 55세 이후에 인출할 때 큰 절세 혜택이 있는 정책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55세 이후에 25~30여년간 금융소득만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시드머니는 어떻게 모아야 할까요?
또는, 이 55세라는 기준을 조금이라도 당기고 일을 덜 하려면 어떡하는 게 좋을까요?
55세 이전에 인출할 금액에 대해 절세하려면 ISA 계좌가 도움이 됩니다. ISA 계좌의 경우 비과세 한도 초과분에 대해서는 9.9%만 세금을 뗍니다. 그리고 연 200-400만원 정도의 비과세 한도까지 세금을 매기지 않습니다. 입금한도가 매년 2천만원씩 5년간 증가하여 최대 1억원까지 원금을 입금할 수 있습니다.
해외 ETF의 경우 이런 장점이 더욱 증가합니다. 일반 주식 계좌에서 해외ETF로 얻은 소득은 배당소득세 15.4%를 부담해야 합니다(개별종목 매매차익의 경우 양도소득세 22%). 그러나 ISA 계좌에서 국내 상장 해외 ETF로 얻은 소득은 해지 시까지 과세를 미룰 수 있으며 해지 때에도 9.9%만 부담하면 됩니다. 원금 2천만원으로 올해 120만원(6%)의 세전 소득을 올렸고 20년 뒤 ISA 계좌를 해지할 예정이라고 해보겠습니다. 장기보유로 연평균 6%의 수익이 20년간 발생할 경우 4414만원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 일반 계좌 679만원, ISA 계좌 436만원의 세금이 발생합니다.
장기보유가 아닌 매매차익으로 얻은 소득일 경우 차익이 더욱 커집니다. 일반 주식 계좌일 경우 몇 달 안 되어 18만원의 세금을 내고 내년에 2,102만원(5.1%)을 운용하게 되지만, ISA 계좌의 경우 내년에는 2,120만원(6%)을 운용하고 20년 뒤 해지할 때 12만원의 세금을 내게 됩니다.
ISA 계좌에서 얻은 수익은 만기 시에 한꺼번에 수령하게 됩니다. 기한을 채우고 해지한 수익은 해지 후 2달 이내에 IRP에 입금함으로써 추가적인 절세 혜택도 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강제 분산투자가 있습니다. 아무리 바보같이 주식을 하더라도 분산투자만 지키신다면 원금을 많이 잃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 계좌에서 지나친 위험을 안고 사고를 치더라도 다른 계좌들은 안전합니다.
단점도 여럿 있습니다.
1) 중도 계좌 해지 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음. 최소 3년. 중도인출은 원금만 가능합니다. 수익은 중도인출을 할 수 없으며, 굳이 인출하려면 해지해야 하며 이 때 큰 과세를 당합니다.
2) 중도 인출 시 모바일로 출금하기 어려움. 증권사에 따라 다르나 영업점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도 있음
3) 해외에 상장된 주식/ETF 투자 불가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는 가능)
4) 최근 3년 중 한 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연 2000만원 금융소득)가 되면 가입이나 갱신 불가
2. 중개형 ISA 계좌 종목
- 해외 ETF: 가장 높게 평가합니다. 이유는 2가지입니다.
1) 원화 환리스크: 한국에서 '원화'로 소득을 올리고 있기 때문에 저희의 모든 소득은 원화의 가치가 얼마나 높고 낮으냐에 달려있습니다. 투자의 일부를 해외로 해놓으면 원화의 가치가 떨어지더라도 자산을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2) 절세 및 과세 이연: 일반 계좌의 경우 '많이, 당장' 내야 하지만 ISA 계좌는 '조금, 미래에' 내게 됩니다.
상장된 주요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지수: S&P, 나스닥, 다우존스 등
* 미국 산업: 필라델피아 반도체, 미국테크 (기술주)
- 펀드: IRP/개인연금을 충분히 넣고 계실 경우 그 쪽이 더 유리합니다. 이쪽은 연금계좌용 펀드를 살 수 있는데 수수료가 매우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IRP/개인연금을 충분히 넣고 계시는 것이 아니라면 중개형 ISA에서 넣는 것도 괜찮습니다.
※ 해외 개별주: 투자할 수 없음
시리즈 다른 글 보기
https://zipperdream.tistory.com/m/154
[재테크 잡설] 글 모음
모아볼 수 있도록 정리하는 중입니다. 1, 보험 https://zipperdream.tistory.com/m/153 2, 금 선물 https://zipperdream.tistory.com/m/104 3, 해외옥수수선물 https://zipperdream.tistory.com/m/149 투자는 항상 전액 손실이 발생
zipperdrea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