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은행: 꼭 예금자 보호가 되는 범위 내에서 분산시켜 놓자.
우체국, 기업은행, 5대 시중은행 (국민 우리 하나 신한 농협), SC제일은행, 이렇게 8개만 분산해도 4억이다.
2.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 피치, S&P): 이들도 개별 기업의 신용을 평가할 능력이 없다. 그러니까 개인투자자는 ETF 등을 활용해 다양한 업종, 다양한 국가, 다양한 기업에 최대한 분산투자하자.
3. 인플레이션은 무섭다. 평온한 시기였으면 양적 완화 선언하면서 무제한적 개입 했으면 금방 지나갈 것 같은데 인플레이션 시기에 같은 선언을 해 버리면 화폐 가치가 폭락하고 물가가 급등한다.
23년 3월 12일 시점에서 드는 생각은
1) SVB 사태는 미국 중소형 은행들의 뱅크런으로 크게 터질 것이다. 그러나 연준은 그 상황에서도 금리를 더 올릴 것이다. 물가 잡는 게 그만큼 힘든 일이기 때문. 이 경우 물가가 잡힐 때까지 계속 기다릴 예정
2) 만약 연준이 금리 인하, 양적 완화로 SVB 등을 지원해주겠다는 발표를 한다면 물가 및 달러화 포기 선언으로 해석하고자 합니다.
-------
23년 3월 14일 업데이트:
글로벌 회계법인이 직접 감사를 해 봐도 모릅니다. 재무제표 봐도 개별 기업의 변동성 앞에서는 무의미합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57872
반응형
'경제 > 경제적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망하는 이유 (3) | 2023.05.20 |
---|---|
주식 못 하는 직장 (0) | 2023.05.11 |
주식 망하는 이유 [2] 거시경제 (0) | 2023.04.24 |
주식 망하는 이유 [1] 리스크 관리 (0) | 2023.04.24 |
주식 하수들 특징 7가지 (0) | 2023.04.14 |